2015-07-07조회수 : 4329
한국복식과학학과, 섬유유물 재현 세미나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복식과학학과는 지난 6월 25일, 서울캠퍼스 대강당에서 [2015 소곤소곤 당신과의 대화 춘계 세미나 '쓰다']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복식과학학과가 지난 2011년부터 진행해 온 '국내 박물관 소장 섬유유물재현전'의 성과를 돌아보고 더욱 심도 깊은 한국복식 이해를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에는 약 70여명의 한국복식과학학과 재학생 및 동문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선착순으로 진행한 사전 신청은 조기 마감을 기록하며 세미나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경남 김해, 양산, 전남 광주, 전북 군산, 전주, 대전, 충청, 인천, 서울, 경기 등 전국 각지에서 모인 학생들은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며 화기애애한 모습을 연출했다. 참석자들에게는 따끈한 점심 도시락과 (주)수현문화에서 준비한 다과, 족두리 제작 키트가 주어졌다.
세미나는 ▲'쓰개류의 종류와 제작 과정'에 대한 발표 ▲초청특강 ▲족두리 제작실습으로 진행됐다.
먼저 발표에 나선 차귀미 동문(05학번)은 온양민속박물관이 소장한 처네를 재현한 작품들을 소개했다. 특히 학생들이 직접 쓰개를 착용해보면서 차이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어 최경희 동문(05학번)은 동양자수박물관 소장의 남바위를 재현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또한 식간행사로는 (사)한국복식과학재단의 왕실복식위원회가 준비한 '조선 궁중 여성 예복 착용 시연'이 진행됐다. 모델로는 차귀미, 이자영 동문 등이 나섰다.
초청 특강은 조선시대의 족두리와 예관에 대해 연구해 온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강의전담 교수인 김지연 박사가 맡았다. 김 교수는 특강을 통해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족두리가 실제로 변화 해온 모형과 구성 특징을 설명했다.
세미나의 마지막은 참석한 학생들이 직접 족두리를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해 특별함을 더했다. (주)수현문화 류장미 실장(규방스튜디오 '소곤이', SH한류컨텐츠 디자인 연구소 실장)과 진행 스텝들은 학생들에게 조선후기 외봉 족두리를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족두리 만들기 KIT'를 전달했다. 학생들은 스텝들의 설명에 따라 서로 도와가며 족두리 만들기에 집중했다.
이날 완성하지 못한 족두리 만들기는 7월 2일 이어 진행됐으며, 족두리를 최종적으로 완성하거나 색다른 아이디어로 변형시켜 완성한 참가자들에게는 2014년 <소곤소곤 나누는 당신과의 대화 - 청파동 이야기> 유물 재현 작품들로 구성된 예쁜 핸드북이 부상으로 주어졌다.
경남 김해에서 참가한 양효영 씨는 "좋은 기회에 정말 좋은 분들과 만날 수 있어 아주 값지고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이런 기회를 마련해 준 학교와 교수님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또한 양효영 씨는 "세심한 곳 하나하나 신경 써 주셔서 더욱 편안하고 행복한 시간이 되었다"며 "세미나 당일 촬영한 사진을 보면서 이런 기회가 앞으로도 더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세미나에 참가한 학생들은 "행복하고 잊지 못할 시간이었다"며 "공부에 대한 열정을 더욱 불태울 수 있는 좋은 경험이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복식과학학과 지수현 교수는 "메르스 사태에도 불구하고 100석 규모의 대강의실을 가득 메운 학생들의 관심과 열정에 진심으로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며 "옛 여인들이 남겼던 다양하고 멋스러운 우리의 전통 섬유 생활 소품과 복식 공예품 등을 탐구하고 직접 만들어보는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또한 지수현 교수는 "앞으로 졸업생들과 재학생, 그리고 관심있는 일반인들과 함께 박물관의 복식품과 섬유생활소품을 주제로 한 세미나, 이벤트, 전문가 워크샵, 상품 개발 공모전 등을 준비해 보고 싶다"고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세미나 현장 모습]
[최경희 동문 발표 모습]
[지수현 교수의 인사말]
[최경희 동문이 직접 만든 휘항을 참가한 학생이 착용해 보고 있다]
[아얌과 취향을 직접 착용한 학생들 모습]
[차귀미 동문 발표 모습]
[식간 행사로 진행된 조선 궁중 여성 예복 착용 시연]

[궁중 예복 착용을 시연하는 모습]
[족두리 만들기를 위해 재단하는 참가자의 모습]
[족두리 만들기에 열중하는 참가자들의 모습]
[족두리 만들기 키트 준비물]
[족두리에 솜을 넣고 있는 학생들]
[족두리를 만드는 학생들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