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9조회수 : 460
경찰, 첫 혼성 기동대 도입…전체 확대엔 '한계'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 경찰학과 신이철 교수 인터뷰
경찰청이 전국 최초로 남녀 경찰관이 한 기동대에서 같이 근무하는 '혼성 기동대'를 시범 운영키로 했다. 하지만 시작부터 남경과 여경의 '젠더 갈등', 확대 실효성 등으로 논란이 번지면서 일부 운영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5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3일부터 경남경찰청 2기동대를 혼성 경찰관기동대로 재편해 시범운영하고 있다. 이는 2000년 여경 기동대를 만든 이후 22년 만에 처음이다.
경남청 혼성 기동대는 남자 경찰관 3개 제대로 운영되던 제2기동대에 새로 편성된 여성 경찰관 1개 제대를 추가로 편제했다.
경찰관기동대는 각종 집회·시위, 다중 운집행사, 범죄예방 순찰 등 각종 민생치안 현장에 투입돼, 현재 주로 남경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여성 경찰관기동대는 서울·부산·대구·광주·경기·경남 등 일부 지역에만 별도로 편성돼 있다.
경찰은 공식적으로 별도 여성 기동대를 운영하는 것에 따른 행정인력을 줄일 수 있고, 해외 주요국 기동대는 혼성으로 운영된다는 점을 고려해 이번 시범운영을 계획했다고 설명했다.
(내용 중략)

신이철 원광디지털대 경찰학과 교수는 "시위에서 여성들을 선별적으로 연행할 때 성추행 논란도 있어 여경의 기동대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면서 "다만 여경이 전체의 15% 밖에 되지 않는데 규모를 너무 많이 잡다보면 지구대나 파출소에 인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이미 서울에는 여성 기동대 규모가 충분하고, 현실적으로 여경 기동대 숫자를 너무 늘릴 수는 없다"며 "이번과 같이 경남경찰청처럼 여성 기동대가 전혀 없었던 전라남북도, 경상북도 쪽으로 혼성 기동대 확대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기사 바로가기]